김장훈, 이동건, 보보 3개곡 표절 분석[1]
'Musical Wor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 샤다이 (0) | 2013.01.26 |
---|---|
예수 나를 위하여(Near the cross) (0) | 2013.01.17 |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엘 샤다이 (0) | 2013.01.26 |
---|---|
예수 나를 위하여(Near the cross) (0) | 2013.01.17 |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김장훈, 이동건, 보보 3개곡 표절 분석[1] (0) | 2013.01.28 |
---|---|
예수 나를 위하여(Near the cross) (0) | 2013.01.17 |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김장훈, 이동건, 보보 3개곡 표절 분석[1] (0) | 2013.01.28 |
---|---|
엘 샤다이 (0) | 2013.01.26 |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엘 샤다이 (0) | 2013.01.26 |
---|---|
예수 나를 위하여(Near the cross) (0) | 2013.01.17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1] (0) | 2012.12.16 |
전용의 하드케이스를 기본으로 포함하고 있는데 원목기타의 경우 온도 습도 변화에 취약하기 때문에 백만원짜리 기타 몸체가 날씨때문에 쩍 하고 갈라지는 본격 하드코어 스릴러 공포 괴기물 스러운 장면을 목격하기 싫다면 하드케이스 보관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에서 파크우드 측의 나름 세심한 배려가 엿보이는 장면이다.
바디는 현대에는 평범한 드레드넛(Dreadnough) 스타일에 하이프렛 연주를 편하게 하기 위한 컷어웨이가 되어 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컷어웨이 좋아하지는 않는다. 어차피 하이프렛 연주를 할 능력이 안되는 고로 겉멋...에 가깝다랄까. 하지만 뭐 레코딩용 기타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범용성"이기 때문에 컷어웨이가 안되어 있는 놈보다는 그래도 있는 놈이 더 낫지 않은가 싶기는 하다.
모서리 부분은 고갈비 스타일-_- 생선뼈 스타일의 장식이 되어 있다. 초창기의 클래식 기타는 오케스트라 스타일의 8자 모양 바디를 가지고 있는데 확실한 기억은 아니지만 아마 마틴(Martin)사(社)였을거다. 지금의 통기타라 불리는 스틸 드레드넛 타입의 기타가 출시되면서 지금은 너무 당연시하게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지만 당시 아마 파격적이었을거라 여겨지는 스트로크 주법에 어울리는 바디를 창조하기에 이르렀다.
헤드는 유광에 자개 문양이 되어 있는데 이거 어디서 많이 본 모양일거라고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콜트의 문양 그대로였다. 파크우드는 콜트의 옛 명성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았다! 그들의 전통과 명맥을 유지하고자 하는 숨은 자부심을 살짝 느낄 수 있었다.
필자의 주특기가 사진이 아닌고로 접사 찍기가 정말 어려운곳에 박혀 있는 이놈의 픽업 단자를 찍기가 정말 힘들었다. 웬만한 자동카메라로는 실내에서 이거 안나온다. 젝일슨 ㅡㅡ;;; 단자함을 요렇게 사운드 홀에 짱박음으로써 바디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어쿠스틱한 사운드의 완성도를 보다 강조할 수 있게 되었다.
특별할 것 없는 로즈우드 지판과 헤드 본 너트 etc....
그 외에도 깨알같은 디테일들...
뉴 파크우드 P660은 전체를 원목 올 솔리드 재료를 사용했고 깔끔한 마감처리로 어쿠스틱한 면에서 좋은 평을 받을 수 있을 제품이다. 바디에 손상을 주지 않는 피쉬맨 매트릭스 픽업을 도입한 것은 화룡점정의의 좋은 예이며 단단한 시트카 스프루스를 사용함으로서 발랄하고 맑고 가벼운 사운드보다는 보다 전통적이고 묵직하고 오래 여운이 남는 고전적인 사운드를 지향하는 기타라고 추정 사료된다.
가격면에서도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는 물건이야 물론 아니겠으나 기존의 올솔리드 기타에 비해 확실히 부담감이 줄어든 관계로 누구나 어떻게든 접근할 수야 있는 가격이기는 하겠지 ㅡ_-;; 그래도 딴에는 나름 친근한 눈높이(?)를 형성해주고 있다는 면에서 감사할 일이다. 굳이 프리미엄 P600 P800 시리즈가 아니더라도 반값 이하에 구매할 수 있는 S20, S40, S60 시리즈도 모두 올솔리드 제품군이기 때문에 취미유저들에게도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는 친근한 브랜드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예수 나를 위하여(Near the cross) (0) | 2013.01.17 |
---|---|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1] (0) | 2012.12.16 |
사막에 샘이 넘쳐 흐르리라 (0) | 2012.12.12 |
악기의 범주에 들어가는 기타에도 분명 스펙이 있다는 사실은 누구나 당연히 알고있는 사실이면서도 한편으로는 당혹스러울 내용이다. 전자악기도 아니고 어쿠스틱 악기에 스펙이라니…. 당연한 듯도 하면서도 아닌 것도 같고 아리송하다.
300년된 스트라디바리우스의 스펙이 궁금했던 양반은 없지 않은가
상판
파크우드 P660의 상판은 시트카 스프루스(sitka spruce)로 되어 있다. 스프루스는 일단 소나무 전나무 비슷한 과의 목재라고 생각하면 무리가 없다. 엑스맨 영화에서 주인공 휴잭맨이 벌목공으로 등장하는데 이러한 벌목공들이 베어 넘기는 초대형 나무들이 이러한 스프루스 계열의 목재라고 보시면 큰 무리가 없다.
기타의 앞면에 흔히 쓰이는 시트카 스프루스
시트카 스프루스는 실제로 기타에 가장 많이 쓰이는 목재이며 그만큼 검증된 소리를 내준다고 볼 수 있다. 가볍고 강도가 높으며 댐핑이 있는 큰 사운드를 자랑한다. 밀도가 있는 목재이기 때문에 좀 진동을 줘버릇해서 흔히 말하는 에이징을 걸쳐야 목재 섬유가 좀 흩어지고 소리가 유해진다고는 하나 필자는 아직 잘 모르겠다. ㅡㅡ;;; 기타를 입수한지 너무 얼마 안된 듯 하다. 하여간 현재까지는 배음을 잡아먹고 좀 먹먹한 감이 있다.
영화에서 봤음직 스러운 대충 이런 나무들이다.
뒷판&사이드
뒷면과 사이드는 붉은 마호가니로 되어 있다. 역시 가장 대표적으로 쓰이는 기타 재료이다. 어쩌면 대중들이 (특히 여성들이) 좋아하는 폭넓고 맑고 밝은 소리를 내주는 목재는 아니다. 사운드가 대개 특정 주파수대에 뭉쳐 있으며 1편에서 언급했듯이 특히 연주하는 본인이 모니터하기는 좀 갑갑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시트카 스프루스나 마호가니나 배음이 풍부한 편의 재료가 아니고 아마 소리는 좀 직선적으로 뚫고 달려가는 경향이 있다고들 한다. 특유의 강점을 연주하는 본인이 느끼기는 좀 힘든 면이 있다.
흔히 뒷면과 사이드에 가장 많이 쓰이는 로즈우드
혹자는 자기가 연주할 때는 마호가니가 별로인데 남이 연주하면 좋게 들린다고 한다. 물론 자기 연주실력이 별로라서 그럴 수도있고., ㅡㅡ;;; 마이크로 치면 로즈우드가 무지향성 마이크라면 마호가니는 초지향성 마이크 정도로 비유하면 실감이 날라나? 하여간 관객들을 향해 앞으로 빵 발사하는 느낌이다. 그런 연유로 연주하는 본인에게는 그 좋은 사운드가 잘 안 들린다는 문제가 있다. 로즈우드는 잘 퍼져서 치는 사람이건 듣는 사람이건 어디서건 비슷하게 들리는데 말이지.
때려죽여도 기타는 내가 직접 쳐보고 고르는게 장땡이닷?
결국 시트카 스프루스+마호가니 조합의 파크우드 P660은 직접 연주해볼 때 실제의 소리보다 다소 저평가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 초보 연주자들이 오히려 값싸고 밝고 맑은 다른 기타를 선호할 가능성이 있다. 아마도 “쳐보고”결정하는 스타일의 유저라면 그다지 높은 점수를 주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다른 사람이 치는 것을 “들어보고” 결정하는 스타일의 유저라면 속된말로 한번에 뿅갈수도 있다.
문제는 “왜 내가 치면 저소리가 안나오지 제길슨….” 이런 느낌일 수 있다.
파크우드 P660에 설치된 픽업은 피시맨의 matrix VT 시리즈이다. 피에조 타입이며 바디에 구멍을 최소한으로 적게 뚫고도 붙일 수 있는 형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초심자들은 복잡한 EQ와 내장 튜너 등이 달린 현란한 픽업을 높이 치는 경우도 있겠지만 필자로서는 이러한 내이티브한 어쿠스틱 기타의 사운드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고품질의 피에조 픽업 수음이 가능하게 한 설계를 높이 치는 편이다.
사운드 홀 속에 교묘하게 숨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파크우드 P660에 설치된 피시맨의 매트릭스 VT는 단 한개의 Tone만이 제어가 가능하며 나머지 하나는 볼륨 노브이다. 픽업의 회로는 심플한 편이 나으며 가급적이면 EQ조차 없는 쪽이 낫다. 뭔가 회로가 추가될수록 아무리 적은 양이라도 원음의 손실은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도 급할 때는 의미가 있을 수도 있다마는 과감하게 그냥 어설픈 EQ 다느니 볼륨노브 빼고 다 없애는게 낫지 않았나 할 때가 있다.
뭐 하는김에 USB 단자도 넣고 다 넣어주지 쳇.
피시맨 자체가 안그래도 호평받는 브랜드로 유명하지만 파크우드 P660에 설치된 매트릭스 VT를 통해 수음된 사운드도 제법 준수하다. 피에조 픽업의 특성상 마이크를 통해 수음된 사운드에 비할수는 없겠지만 충분히 레코딩에 사용할 수 있을 만큼의 S/N비와 음질감을 보여주는 바 프로를 지향하는 밴드의 구성원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는 사운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More To Come
나를 지으신 주님 (0) | 2013.01.14 |
---|---|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1] (0) | 2012.12.16 |
사막에 샘이 넘쳐 흐르리라 (0) | 2012.12.12 |
크리스마스에는 (0) | 2012.12.06 |
차근차근 순서대로 순리대로(?) 리뷰를 진행하다보면 뭐 구입기 개봉기 외관편 뭐 서론 서론 서론 본론 (결론) 이런 순서대로 여러 독자들의 숨죽이는 긴장감과 애간장타는 다음회를 기다리시라… 의 패턴으로 리뷰가 진행되어야 정상이지만 어차피 독자도 얼마 없고 기대감도 그닥 없는 바 이따위 상술(?)을 응용해야 할 하등의 이유가 없다. 그냥 최대한 빨리 본론으로 진행해서 기타의 본론중의 본론중의 결론중의 에센스. 소리부터 들려드리는 것이 그나마 몇 안되는 독자들을 위한 예의라 생각하는 바. 한 리뷰 말미쯤 들어가야 정상일(?) 소리편이 가장 맨 앞에 들어가게 되었다.
사실은 거의 다 뻥이고 자기합리화이고 상하이 갔다가 카메라를 소매치기당해 그렇다ㅡ_-;;;
물론 기타의 사운드를 블로그나 기타 인터넷 미디어를 통해 리뷰하는 것은 사실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다. 대개는 ‘제가 기타 샀는데 소리 한번 들어보세요’ 하면서 싸구려 캠코더 (기능이 있을 뿐인 디카), 혹은 엽기적이게도 폰카로ㅡㅡ;;;; 동영상을 찍어서 올리는데 댁의 기타 연주솜씨 자랑이나 비주얼 효과에는 의미가 있을지언정 실제로 사운드를 체크하는데에는 저언혀 하등의 도움이 안된다. 우선 마이크부터 싸구려고 제대로 된 수음이 될 턱이 없고 녹음장비도 싸구려고 녹음 기술도 싸구려고 헉헉헉….
아무리 스튜디오에서 좋은 마이크로 녹음했다고 해도 대개는 결정적으로 여러분이 쓰는 PC 스피커가 제일 싸구려다. ㅡㅡ;;;
잠시 사설인데 포스팅이 딱딱하지 않도록,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시쳇말을 쓰곤 하는데 좀 자극적인 표현을 썼다 해서 뭐 특정인들에 대한 비난이나 조소 따위로 들리지 않았으면 좋겠다. 늘 좋은 정보를 인터넷에 올리시는 유저분들과 쓸데없는 한량 독거노인 필자를 늘 방문해주시는 독자분들께 늘 감사드리고 겸손의 마음을 잃지 않으려 지딴에는 노력하고 있다. 단, 인터넷에 포스팅하는 리뷰의 객관성이 이토록 보장되지 않는 성격의 것이라는 점을 다시한번 강조하고자 함이다. 본문의 표현방식이 거슬리시는 분들을 위해 미리 뒤늦게 양해를 구하고자 한다.
하여간 각설하고 이러한 난점을 그럭저럭이나마 극복해보고자 필자가 할 수 있는 방법은 가장 그래도 스탠다드하고 담백하게, 최대한 원음 그대로의 수음을 위해서 거의 어떠한 작업을 거치지 않은 순수한 녹음파일을 그대로 여러분들이 들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 뿐이다. 필자의 집은 녹음실이 아니고 따라서 잡음 그대로 들어가고 방의 울림따위는 신경쓸 여력도 없고 뭐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여전히 많이 있지만 (뭐 그리치면 제대로 된게 뭐냣 ㅡㅡ;) 그냥 현실적으로 가능한 한도 내에서 최대한 원음을 정확하게 수음할 수 있는 마이킹을 이용하려고 애썼고 픽업을 이용한 수음과 비교청취가 가능하도록 들려드리는 정도이다.
집에서 컴퓨터 앞에서 혼자 헤드폰 끼고 녹음해서 올릴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웨이브 파일들은 모두 가능한 많은 대중들이 들을 수 있도록16bit 44Khz로 저장되어 있으며 필자 집안의 잡음 등 여러가지 문제로 볼륨을 키울 수 없어 다소 낮은 볼륨으로 녹음되어 있다. 픽업으로 녹음할 경우 훨씬 큰 소리로 녹음할 수 있지만 이럴 경우 둘 사이의 대조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마이크로 수음한 소리와 비슷한 볼륨 레벨로 녹음하도록 애썼다. 한번에 녹음하면서 마이크 트랙과 픽업 트랙을 동시에 녹음하였고 마이크는 필자의 개인적 사정상 넥쪽에서 수음하였다. 기타는 넥 바디 후면 어느쪽에서 녹음하느냐에 따라서 또한 소리가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하여간 이런저런 전문적인 사항 다 따지고 들면 아놔 못해. /ㅡㅡ/ ~ 전문 스튜디오에 돈내고 녹음해달라고 하던가. ㅡㅡ;;;;;;
마이크는 보컬전용으로 인테리어(?)까지 살리다보니 기타 수음에는 적합하지 않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ㅠ_ㅠ
하여간 일반적인 리뷰에 비해서는 소리를 대조하기 조금은 나은 환경이 아닐까 하는 기대를 해본다. 물론 유저분들께서 아이뻐4 같은 좀 정확한 사운드를 재생하는 걸로 입증된 핸드폰을 이용하시거나 전문적 사운드/오디오 시스템에서 이를 재생하시는 것 역시 수반되지 않는다면 어차피 말짱 꽝-_-이긴 한데(난 왜 이 헛수고를 한 것이냣!) 아놔… 이쯤되면 자포자기닷. 그냥 노력이 가상하다고 여겨주시면 감사하겠다. ㅠ_ㅠ
사용된 장비
Microphone : Marshal MXL 2006
Audio system : Infrasonic Windy6
DAW system : Cakewalk sonar X2
뭐 일전에도 보셨겠지만 필자의 작업환경은 대충 이러하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세가지 주법 정도로 사운드 프리뷰를 진행해 제공하겠다. 필자의 연주실력은 제껴놓고 유저들의 가급적 객관적 판단 바란다.
1. Stroke
2. Arpegio
3. Hybrid
어쿠스틱 기타에 잘 사용되는 픽업은 피에조 픽업이라 해서 일렉기타의 전자기유도방식의 픽업과는 확연히 다르다. 물론 마이크의 수음방식과도 확연히 다르다. 따라서 우리의 귀에 들리는 소리를 그대로 전해주지는 못한다. 특히 Hybrid 주법(이라는 주법은 없고 그냥 딱히 이름이 없어서 내맘대로ㅡ_-;;) 에서 줄을 때리는 커팅소리의 경우 마이크에는 확연하게 (오히려 지나치게) 들리는 부분이 픽업을 통해서는 상당히 열화되어 들리는 점을 귀담아 듣기 바란다. 어쿠스틱 기타는 특히 리듬기타나 프리스타일 주법용으로 사용될 경우 상당히 퍼커시브한 악기가 되는데 이럴 때 픽업을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이고 이러한 한계를 어디까지 극복해주는가에 따라 기타의 활용성이 달라질 것이다.
파크우드에 장착된 픽업에 대해서는 이후에 다시 한번 보다 자세히 다룰 기회가 있을 것이다.
사실 기타는 노래와 마찬가지로 치는 본인이 판단하는 소리와 남이 듣는 소리가 판이하게 다른 편이다. 특히 울림통이 나를 향해 있지 않고 청중을 향해있다는 면에서 더더욱 그렇다. 취미용으로 가지고 있는 콜트 AF510과 비교했을 때 (10만원짜리 콜트 AF510과 100만원짜리 파크우드 P660의 소리를 비교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신성모독에 가깝다. ㅡㅡ;;;) 소리의 만족도는 말도 안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더 많겠지만 정말 어쩌면 유저의 성향에 따라서는 값싼 AF510이 더 높을수도 있다. 그만치 음악은 주관적인 것이기도 하고 물론 신포도 기작이라 해서 내가 살 능력이 없는 기타 소리는 별로로 들릴지도 모르지만 P660은 일반인들이 좋아하는 밝고 카랑카랑하고 귀여운 사운드를 갖추고 있지는 않다.
각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기타는 정말 천차만별이다.
분명 청중이 듣는 사운드에 깊이와 무게감이 실리겠지만 정작 연주하고 있는 본인의 귀에는 그것이 잘 들어오지 않을수도 있다. 특히 P660의 경우 기타 몸통에 내 팔이 얹혀 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울림조차 판이하게 다르다. 아무렇게나 휘둘러 쳐도 그놈이 그놈같은 AF510에 비하면 지극히 예민한 놈이다. 물론 AF510은 워낙 몸통이 작아서 차이를 잘 모른다. 결국 비싼 악기가 무조건 좋기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소리와 자기 자신의 용도에 가장 맞는 악기가 좋은 악기인 것이다.
파크우드 P660은 충분히 좋은 스펙과 재질과 좋은 마감과 제작기술로 만들어진 프리미엄급(임에도 가격도 나름 저렴한) 기타라고 충분히 표현할 수 있다. 아마 전세계 어딜 가도 이가격에 이정도 품질을 가진 그것도 올 솔리드 원목기타를 구입할 수 있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곧 파크우드 P660 이 글을 읽는 독자들 모두에게 썩 어울리는 좋은 기타라는 의미가 되는 것은 아니다. 필자의 리뷰가 독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에 손톱만큼이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랄 뿐이지 파크우드는 정말 최고의 기타이니 모두 우르르 달려가 사야할 Must have item이다? 아마 다른건 몰라도 악기에는 그런 것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뉴 파크우드 P660 리뷰 - 외관편 (0) | 2013.01.12 |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사막에 샘이 넘쳐 흐르리라 (0) | 2012.12.12 |
크리스마스에는 (0) | 2012.12.06 |
Crawling (0) | 2012.12.05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2]- 스펙편 (0) | 2012.12.27 |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1] (0) | 2012.12.16 |
크리스마스에는 (0) | 2012.12.06 |
Crawling (0) | 2012.12.05 |
하늘에 계신주 (0) | 2012.11.26 |
musiki's 캐롤 프로젝트 ㅋ
Vocal : SeeU
Chorus : Oliver, Miku
Elec Gt : RealGt, RealLPC, LPC playa's inst
Drum : Marky's Drum kit
Piano : Pianoteq
Bass : Trilian
All Produce, written by Musiki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리뷰 [1] (0) | 2012.12.16 |
---|---|
사막에 샘이 넘쳐 흐르리라 (0) | 2012.12.12 |
Crawling (0) | 2012.12.05 |
하늘에 계신주 (0) | 2012.11.26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프리뷰 (0) | 2012.11.24 |
사막에 샘이 넘쳐 흐르리라 (0) | 2012.12.12 |
---|---|
크리스마스에는 (0) | 2012.12.06 |
하늘에 계신주 (0) | 2012.11.26 |
뉴 파크우드 P660 기타 프리뷰 (0) | 2012.11.24 |
뉴 파크우드(New Parkwood) P660 기타 (0) | 2012.11.20 |